출처 : 이투데이


미국에서 해마다 열리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IT) 경연장인 소비자가전전시회(CES)에서 중국의 공세가 올해에도 그 위력을 더하고 있다.




드론과 같이 중국이 전통적으로 앞서나갔던 분야는 물론 인공지능(AI)에서도 알리바바와 바이두 같은 중국 기업들은 자체 브랜드를 달고 생태계 확장에 나섰다. 아직 아마존이나 구글처럼 다양한 협력사를 끼고 생태계를 구축하는 단계는 아니지만 중국의 내수시장이 워낙 큰 탓에 성장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 더 이상 중국을 ‘베끼기’나 ‘기술 추격자’로 보기에는 이미 중국이 가진 잠재력과 수준이 상당히 위협적이라는 것이 업계 평가다.

11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사우스홀에 있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 부스에는 유난히 중국어가 많이 들렸다. 제조업이 아닌 유통을 기반으로 하는 알리바바가 ‘CES 2018’에 전시장을 차린 것은 자체 인공지능 스피커 ‘T몰 지니’를 알리기 위해서다. 중화권 관람객들은 알리바바의 이 인공지능 기기에 명령을 내리고 성능을 시험해보며 신기해 했다.

아직 생태계 확장을 위한 다양한 파트너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알리바바가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 80%가량을 장악하고 있는 만큼 향후 중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한 국내 전자업계 관계자는 “국내 전자 업체들이 주로 기기제어 쪽으로 인공지능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알리바바는 유통관리 면에서 인공지능화를 시도하고 있다”며 경계심을 감추지 못했다.




중국 최대 포털업체 바이두는 자체 AI 플랫폼인 ‘듀어오에스(DUER OS)’를 전시했다. 바이두는 듀어오에스가 적용된 스마트 스피커, 휴대전화, 레이저 프로젝터 등을 선보였다. 바이두는 이외에 AI에 기반을 둔 독자 자율주행 플랫폼 아폴로 2.0을 선보였다. 아폴로 2.0을 세계 최초의 양산형 완전 자율주행 플랫폼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퓨처모빌리티는 전기차 바이톤을 선보여 주목받았다. 1회 충전에 520㎞ 주행이 가능하고 곡면 디스플레이에 제스처·얼굴·감정 인식이 가능한 AI 기능을 갖췄다. 샤오펑 모터스도 전기차 모델을 선보였다.

TV,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은 삼성이나 LG 같은 국내 프리미엄 제조사와 비교하면 여전히 디자인이나 완성도 면에서 차이가 느껴졌지만, 중국의 맹공은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물류에서의 활용도가 기대되는 드론 역시 중국업체들이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 세계 1위 드론 기업 중국 DJI가 올해도 대거 제품을 들고 나온 데 이어, 파워비전테크놀로지는 물속에서 작동하는 드론 제품군인 파워돌핀을 선보였다.

올해 CES에 참가한 전체 기업 약 4000여개 중 3분의 1가량이 중국업체다. 이제 중국을 빼놓고 CES를 말하기 어려운 이유다. 현지를 찾았던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4G 후반기에 오면서 중국이 빠르게 달려가고 있는데, 오히려 우리가 기술 격차를 걱정해야 할 정도”라고 말했다. CES 현장에서 중국의 ‘IT굴기’는 세계를 향해 거침이 없었다.

중동·북아프리카 지정학적 불안↑…올 GDP 성장 1.8%로 급락


올해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의 경제성장이 지정학적 불안으로 인해 큰 차질을 빚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신화통신의 10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워싱턴 소재 세계은행그룹(World Bank Group)은 ‘세계 경제 전망(Global Economic Prospects)’이라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메나(Mena: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합성어) 지역의 정치·경제적 불안으로 인해 이 지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8% 수준으로 급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메나 지역의 GDP 성장률은 5%에 달했었다. 

 세계은행그룹 보고서는 “(메나 지역의) 지정학적 위험이 고조되고 있다. 다양한 외교적 긴장으로 인해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메나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의 사례로 지난해 6월 바레인과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등이 카타르와 외교 및 경제적 관계를 단절한 사례를 들었다. 보고서는 “해당 국가들과 카타르 간 해상 및 항공 연결이 단절됐다”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예상보다 약세를 지속하고 있는 국제유가도 메나 지역 산유국들의 경세 성장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계은행그룹이란 세계 제2차 대전 이후 각국의 재건사업을 돕기위한 목적으로 1946년 만들어졌다. 현재는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을 위한 자금 지원과 정책 자문 활동을 하고 있다. 국제부흥개발은행(IBRD)과 국제개발협회(IDA), 국제금융공사(IFC), 국제 투자보증기구(MIGA), 국제투자분쟁해결본부(ICSID)로 구성된 컨소시엄 형태의 기구다. 흔히 IBRD와 IDA를 묶어 세계은행이라고 부른다.


美 12월 수입물가 0.1%↑…월가 전망치보다 크게 낮아


미 노동부는 10일(현지시간) 12월 수입물가가 전월 대비 0.1%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전망치인 0.5% 상승을 크게 하회한 것이다. 지난 4개월 동안 강한 상승세를 보이던 수입물가가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12월 수입물가는 전년 대비로는 3.0% 상승했다. 이는 2011년의 8.5% 상승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이다. 


12월 수입 석유류와 석유 제품 가격은 전월 대비 2.0% 올랐다. 원유 가격도 2.5% 상승했다. 석유를 제외한 12월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0.2% 내렸다. 

12월 미국의 수출가격은 전월 대비 0.1% 내렸다. 12월 수출가격은 전년대비로는 2.6% 올랐다.


英 11월 산업생산 전월비 0.4%↑…시장 전망치와 일치


지난해 11월 영국의 산업생산이 전월대비 0.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시장 전문가들의 예측과 일치하는 내용이다. 

 영국 통계청(ONS)은 10일(현지시간)  영국의 11월 산업생산이 전년 대비 2.5% 올랐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전년 대비 11월 영국의 산업생산은 전문가 예상치인 1.8% 증가를 웃도는 내용이다.


같은 달 제조업 생산은 전월대비 0.4% 증가했다. 이는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0.3% 증가를 소폭 상회한 수준이다. 영국의 11월 제조업 생산은 전년 대비 3.5% 증가한 것이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2.8%를 상회한 내용이다.

11월까지 석 달 동안 산업생산은 1.2% 늘었다. 제조업 생산은 1.4% 증가했다



시카고 연은총재 "금리인상, 올해 중반까지 유예해야"
"인플레이션 상승 여부 지켜본 뒤 결정"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올해 중반까지 기준 금리 인상을 유예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지지부진한 인플레이션 추이를 지켜본 뒤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르면 에번스 총재는 10일(현지시간) 일리노이 주 레이크포리스트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이 좀처럼 상승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지금으로서는 금리 인상을 유예하는 비용이 그리 크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에번스 총재는 “만일 올해 중반 쯤 인플레이션이 분명히 상승한다면 우리는 그 즈음에서 점진적인 페이스로 (금리인상을) 재개할 수 있다. 너무 늦기 전에 연방기금 금리를 보다 중립수준으로 올릴 수 있다”라고 말했다. 


 에번스 총재는 지난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도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와 함께 금리인상에 반대표를 던졌다. 당시 두 사람은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목표치인 2%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우려했다. 

 연준이 선호하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전년 대비 1.5% 오르는 데 그쳤다. 에반스 총재는 올해는 FOMC 투표권을 행사하는 멤버가 아니다. 

 연준은 지난 2015년 12월 기준금리를 연 0.25~0.5%에서 0.50%~0.75%로 인상했다. 7년 동안 지속된 제로금리 시대에 종지부를 찍은 것이다. 이어 일 년 만인 2016년 12월 14일 기준금리는 0.25~0.50%에서 0.25%포인트 오른 0.50~0.75%로 조정됐다. 

 지난해에는 3월과 6월, 12월 세 차례에 걸쳐 금리인상을 실시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1.25%~1.50%로 오른 것이다. 미국은 올해에도 최소 세 차례 금리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中, 비트코인 전면금지 압박…WSJ "가상화폐 대혼란 가능성"
중, 전세계 비트코인 채굴 전력 80% 차지
 

중국이 소리 소문없이 가상화폐인 비트코인 채굴을 전면 금지시키는 조처를 취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지난해 9월 가상화폐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가상화폐공개(ICO)를 불법으로 규정한 데 이어 관련 계좌 개설을 금지하고 자국 내 모든 가상화폐 거래소 운영을 중단시키는 등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10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비트코인 시장이 은밀한 돈 세탁의 통로로 이용되는 등 금융 시스템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판단 아래 가상화폐 시장을 정리하기 위한 압박을 계속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지난 2일 각 지방에 비트코인 채굴 사업을 질서 있게 퇴출시키라는 지시를 하달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달 한 비공개 회의에서 각 지방정부에 에너지원, 전력사용, 환경보호 등 조처를 통해 비트코인 채굴기업들을 압박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채굴하는 데는 엄청난 양의 전력이 소모된다. 방대한 데이터센터와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해 연산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미국 뉴욕 소재 연구기관인 차이날리시스Inc.(ChainalysisInc.)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30여 년 동안 비트코인 채굴에 사용된 전 세계 컴퓨터 전력의 80%는 중국에서 충당된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로 전 세계 대규모 비트코인 채굴업체들은 대부분 중국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이 값싼 컴퓨터를 구하기도 쉽고, 전기요금도 저렴하기 때문이다. 

 차이날리시스의 필립 그래드웰(Philip Gradwell)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만일 중국이 전 세계 가상화폐 채굴에 사용되는 전력의 80%를 끊는다면 이를 복구하는 데는 수주 혹은 몇 달이 소요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래드웰은 “만일 중국이 모든 채굴장의 전원을 갑자기 끊어버릴 경우 매우 높은 수준의 혼란이 일어날 것이다. 그 충격이 어느 정도일지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라고 말했다.






골든글로브 시상식의 강렬한 수상 소감으로 2020년 미국 중간선거 대권 '잠룡'으로 급부상한 '토크쇼 여왕' 오프라 윈프리(63)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가상대결에서 10%포인트 앞서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미국 언론들이 10일(현지시간) 전했다. #연합뉴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