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에 안보 달렸다" 美, 국방부 나서 희귀금속 확보戰



첨단산업의 비타민, 희소금속의 교역동향과 시사점

 

 

 최근 4차 산업혁명의 붐을 타고 전 세계 희소금속 수요는 전례 없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년 새 코발트(131%), 텅스텐(58%), 리튬(33%) 등 주요 광종의 국제 시세는 급격한 상승세를 기록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천연광석의 99.6%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35종에 달하는 희소금속 중 티타늄, 인듐 등 일부 광종을 제외하면 자급률이 0%에 가깝다. 또한 희소금속은 선물시장이 존재하지 않아 가격 급변동에 대비한 리스크 헤징이 어렵고, 매장 및 생산이 특정 국가에 집중되어 있어 공급 불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희소금속의 대중국 수입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이를 낮추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희소금속의 교역을 원재료와 소재·부품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2016년 희소금속 원재료 교역은 수출 29.7억 달러, 수입 60.9억 달러로 수입이 수출의 2배 이상을 기록했다. 원재료 수입에서 35종의 희소금속 중 대중국 수입비중이 1위인 광종은 12개(3위까지 포함시 27개)에 달했으며, 수입액 1억 달러 이상의 주요 원소 중에는 규소(45%), 텅스텐(56%), 마그네슘(72%), 코발트(36%)의 대중국 수입 비율이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재·부품의 수입은 부품 산업의 경쟁력이 높은 중국일본에 대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는데특히 희토류의 경우 소재·부품의 대중국 수입 비중이 98%에 달하여 중국의 영향력이 절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망간(81%), 리튬(67%)도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규소(31%), 니켈(34%), 탄탈륨(35%)에 대해서는 일본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1위를 기록했다.


 

  희소금속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해외 광산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한편, ▲주요 희소금속에 대한 비축제도를 내실화하고 ▲도시광산을 통한 자원 회수를 활성화 하는 등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신산업 분야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중간 가공단계의 밸류체인을 잇는 ▲소재·부품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도 힘써야 할 것이다. -김경훈-


원문보기 : 희소금속의교역동향및시사점.pdf


+ Recent posts